2025년 현재,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경제를 살리고 시민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정책으로 지역사랑상품권을 적극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서울사랑상품권’, 부산의 ‘동백전’, 대전의 ‘대전사랑카드’, 인천의 ‘인천e음’, 대구의 ‘대구로페이’ 등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지역화폐들이 소비자에게 할인·캐시백·소득공제 혜택을 제공하며 자리 잡았습니다.
내고장알리미
지역사랑상품권 안내 지도 입니다. 서울
www.laiis.go.kr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요 도시의 지역사랑상품권의 홈페이지, 구매 방식, 사용처, 할인율, 월 구매한도, 캐시백 혜택, 발급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각 도시별로 어떤 혜택이 있는지 비교해 보시고, 내 지역 상품권을 가장 똑똑하게 활용해보세요.
서울지역 지역사랑상품권 / 서울페이+ / 서울사랑상품권 할인율 / 사용처
서울사랑상품권은 서울시가 발행하고 서울페이+ 앱을 통해 구매 가능한 대표 지역사랑상품권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제로페이 기반 앱들은 2025년부터 서울사랑상품권 결제가 중단되었으며, 서울페이+ 전용 앱에서만 구매와 사용이 가능합니다.
서울 전 자치구별로 발행되며, 자치구별로 판매일정과 물량이 다르기 때문에 원하는 상품권을 구매하시려면 사전 알림 기능 활용이 중요합니다.
서울 지역사랑상품권 서울페이 신청
https://news.seoul.go.kr/economy/archives/515739
이제 서울사랑상품권 구매는 '서울페이+' 앱에서!(2022.1.24.부터 판매시작)
이제 서울사랑상품권 구매는 '서울페이+'앱에서 구매하세요! 1월 24일~1월 26일동안 서울사랑상품권을 판매합니다.
news.seoul.go.kr
- 서울사랑상품권은 지역 내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울시 전용 지역사랑상품권으로,
- 사용처는 서울 전역에 걸친 전통시장, 식당, 카페, 학원, 미용실 등 생활밀착 업종입니다.
- 백화점,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직영점, 온라인 쇼핑몰 등 일부 업종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며,
- 이는 지역사랑상품권법 및 서울시 정책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서울사랑상품권 구매정보 상세 요약
✅ 결제 앱 및 지원 앱
- 기본 결제 앱: 서울페이+ (필수 앱)
- 추가 지원 앱: 신한SOL, 티머니페이, 머니트리
- 단, 상품권 구매는 서울페이+ 앱에서만 가능하며, 다른 앱은 결제 전용으로 사용됩니다.
- 서울페이 앱 설치 후 회원가입 및 본인인증을 거쳐 구매 계좌 등록 → 상품권 구매 → 결제 순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 구매수단
- 등록된 은행 계좌 이체 방식
- 또는 신한카드 (신용카드 / 체크카드) 이용 가능
✅ 보유한도
- 계좌 등록 시: 상품권 종류별 최대 200만 원까지 보유 가능
- 계좌 미등록 시: 신한카드로 구매할 경우 최대 50만 원 보유 가능
✅ 할인율
- 서울시 정책 및 예산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5 - 10% 할인율 적용
- 명절 전후, 특별판매 기간에는 최대 10% 할인 판매
✅ 판매일정
- 매월 자치구별로 판매 일정이 다르게 운영됩니다.
- 판매 일정 및 재고 소진 현황은 서울페이+ 앱 내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빠르게 소진되는 자치구도 많기 때문에 사전 알림 설정을 권장드립니다.
✅ 사용처
- 서울사랑상품권은 서울시 소재의 다양한 소상공인 업종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사용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통시장 / 동네 식당 / 카페 / 미용실 / 학원 / 병원 / 약국(일부)
✅ 제한 업종
서울사랑상품권은 일부 업종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사용 불가 업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형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 백화점 (신세계, 롯데, 현대 등)
- 프랜차이즈 직영점 (스타벅스, 버거킹 등)
- 온라인 쇼핑몰
- 유흥·사행성 업종
- 사용처는 서울시 정책에 따라 변동 가능하며, 서울페이+ 앱의 '가맹점 찾기' 메뉴를 통해 실시간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서울사랑상품권은 서울시민에게 직접적인 할인 혜택과 소득공제 혜택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지역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에 기여하는 상생형 소비 정책입니다. 생활비 절감은 물론, 골목 상권과 전통시장 활성화에도 도움을 주는 만큼, 일상 속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부산지역 동백전 / 동백전 사용처 / 지역사랑상품권 캐시백 / 부산 지역화폐 구매한도
부산광역시에서 발행하는 지역사랑상품권, 동백전은 이름 그대로 지역을 대표하는 동백꽃과 전통 화폐를 상징하는 ‘전(錢)’을 합성해 만든 부산 전용 지역화폐입니다.
부산 지역사랑상품권 동백전 신청
부산이즈굿 동백전
동백전은 부산시의 상징화인 '동백꽃'과 화폐를 의미하는 '전'을 합성해 만든 부산 지역화폐입니다.
busandong100.kr
- 동백전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 간편하게 충전하고 사용 가능하며,
- 결제 시 즉시 캐시백이 제공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 특히 소상공인과 함께하는 상생 가맹점에서는 캐시백 외에도 현장 할인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더해집니다.
동백전 구매 및 사용 정보 상세 요약
✅ 결제 앱
- 동백전 전용 앱 (운영사: 코나아이)
- 안드로이드 및 iOS 모두 지원
✅ 구매수단
- 등록한 은행 계좌 이체 충전
- 카드 결제가 아닌 선불 충전 방식
- 앱 내 충전 후 QR코드 또는 NFC 결제 가능
✅ 보유한도 및 구매한도
- 월 최대 100만 원까지 충전 및 사용 가능
✅ 캐시백 및 할인율
- 기본 캐시백 5%
- 이벤트 기간에는 최대 7%까지 확대
- 상생가맹점에서는 추가 할인 또는 포인트 제공 가능
✅ 사용처
- 부산시 내 일반 소상공인 가맹점
- 전통시장, 음식점, 카페, 미용실, 약국 등
- IC카드 단말기 기반 결제 가능 가맹점
✅ 제한 업종
- 대형마트, 백화점, 기업형 슈퍼마켓(SSM)
- 프랜차이즈 직영점
- 온라인몰, 유흥업소, 타 지역 주소 사업장 등
✅ 기타 혜택
- 연말정산 소득공제 30%
- 전통시장 사용 시 40% 소득공제 가능
- 앱 내 이벤트·이용실적별 포인트 프로모션 수시 진행
✅ 동백전은 결제 즉시 5% 캐시백이 제공되는 부산 전용 지역화폐입니다.
전통시장이나 상생가맹점에서는 추가 혜택도 받을 수 있으며, 충전형 선불카드 방식으로 월 최대 100만 원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캐시백이 빠르게 지급되며, 앱 내에서 잔액 확인도 편리합니다.
대전지역 지역사랑상품권 / 대전사랑카드 / 지역화폐 구매한도 /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
대전광역시는 2025년 7월부터 지역화폐인 ‘대전사랑카드’의 정책을 대폭 개편하며 시민 혜택을 확대했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월 구매 한도의 증가 입니다.
기존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어, 대전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대전 지역사랑상품권 대전사랑카드 신청
https://www.daejeonsarangcard.kr/
대전사랑상품권 대전사랑카드
(35242)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로 100 (둔산동) 고객센터 1661-9645 (평일 09:00 ~ 18:00) Copyright 2022. DAEJEON METROPOLITAN CITY. ALL RIGHTS RESERVED.
www.daejeonsarangcard.kr
대전사랑카드 구매정보 상세 요약
✅ 결제 방식
- 실물 카드 발급 → 체크카드처럼 사용
- 제휴 카드사(지역 은행) 또는 대전사랑카드 앱을 통해 신청 가능
✅ 구매한도
- 월 50만 원까지 사용 가능
- 한도 내에서 결제 시 자동 캐시백 지급
✅ 캐시백 혜택
- 최대 7% 캐시백
- 월 한도 초과 시 캐시백 제외
- 예시: 50만 원 사용 시 최대 35,000원 환급
✅ 사용처
- 대전시 내 연매출 30억 원 이하 일반 가맹점
- 음식점, 학원, 병원, 전통시장 등
- 체크카드 단말기가 있는 가맹점 전반
✅ 제한 업종
- 대형마트, 백화점, 유흥업소, 온라인 쇼핑몰 등
- 일부 프랜차이즈 직영점
✅ 기타 혜택
- 소득공제 자동 적용 30%
- 전통시장 사용 시 40% 소득공제
- 앱을 통해 가맹점 찾기 및 잔액 확인 가능
✅ 체크카드처럼 사용할 수 있는 지역화폐로, 월 50만 원까지 사용 가능하며 최대 7% 캐시백 혜택이 주어집니다.
연매출 30억 이하의 지역 내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고, 자동으로 30% 소득공제 적용됩니다. 대형마트나 유흥업소 등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며, 가맹점은 대전시 홈페이지나 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인천지역 지역사랑상품권 / 인천e음 / 지역화폐 구매한도 /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
인천e음은 인천광역시에서 발행하는 가장 활성화된 지역사랑상품권 중 하나로, 높은 캐시백과 다양한 부가서비스(배달e음, e음택시 등)가 강점입니다.
인천 지역사랑상품권 인천e음 신청
인천e음
인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국 최초로 만들어진 인천지역화폐
incheoneum.or.kr
인천e음 구매정보 상세 요약
✅ 결제 앱
- 인천e음 전용 앱
- 앱스토어에서 '인천e음' 검색 후 설치 가능
✅ 카드 발급 및 등록
- 앱 설치 후 회원가입
- 카드 디자인 선택 후 실물카드 신청
- 카드 수령 후 앱에서 등록
- 은행 계좌 연결 및 충전
✅ 캐시백 구조
- 연매출 3억 원 이하 가맹점: 10%
- 3억 초과 - 30억 이하: 5%
- 30억 초과 매장: 0%
✅ 추가 캐시백 혜택 (최대 19%)
- 인천시 캐시백: 2% - 12%
- 군·구 상생캐시백: 0% - 2%
- 상생가맹점 캐시백: 1% - 5%
✅ 사용처
- 인천 내 모든 인천e음 가맹점
- 전통시장, 편의점, 병원, 미용실 등
- e몰, e택시, 배달e음 등 자체 서비스 사용 가능
✅ 기타 혜택
- 연말정산 소득공제 30%, 전통시장 40%
- e음택시 이용 시 월 30만 원 한도 내 10% 캐시백
- 배달e음 주문 시 최대 19% 캐시백
✅ 최대 19% 캐시백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전국 최고 수준의 지역화폐입니다.
기본 10% 캐시백부터 군·구 상생 캐시백, 상생가맹점 캐시백까지 중복 적용되어 혜택이 크며, e음택시, 배달e음, 인천e몰 등 지역 플랫폼 서비스와 연계됩니다.
앱에서 카드 신청부터 충전까지 모두 가능하며, 실물카드 등록 후 다양한 가맹점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구지역 지역사랑상품권 / 대구로페이 / 지역화폐 구매한도 /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
대구로페이는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무기명 충전식 선불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입니다.
모바일 앱과 실물카드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발급수수료가 무료입니다.
대구 지역사랑상품권 대구로페이 신청
https://xn--2e0bu9hw3ev7r8jo.kr/
대구로페이
대구로페이 소개, 대구로페이 혜택, 신청방법, 이용처 안내 등
www.xn--2e0bu9hw3ev7r8jo.kr
대구로페이 구매정보 상세 요약
✅ 발급 방법
- 모바일카드: iM# 앱 설치 후 발급
- 실물카드: DGB대구은행 영업점 방문 (65세 이상만 가능)
- 만 14세 이상 누구나 발급 가능
✅ 충전 방법
- iM# 앱, DGB 셀프창구, ATM 등
- 실물카드는 오프라인 충전소만 가능
✅ 할인 혜택
- 충전 시 7% 할인 적용
- 월 충전한도: 50만 원
✅ 사용처
- 모바일카드: 대구 내 QR 결제 가맹점
- 실물카드: 카드 단말기 설치된 대구지역 매장
- 음식점, 약국, 병원, 학원, 편의점, 헬스장 등
✅ 제한 업종
- 대형마트, 백화점, 유흥업소, 사행성 업종
- 타지역 사업장 및 연매출 30억 원 초과 매장
✅ 기타 혜택
- 연말정산 소득공제 30% 적용
- 삼성페이 등록 가능
- 모바일 앱에서 실시간 잔액 확인, 가맹점 검색 가능
✅ 모바일 또는 실물카드로 발급 가능한 대구 전용 선불형 지역상품권입니다.
충전 시 7% 할인 적용, 월 50만 원 한도 내에서 사용 가능하며, 음식점, 편의점, 병원 등 QR결제 또는 카드 단말기 설치된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백화점, 온라인, 타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발급수수료는 무료입니다.
출처 :
• 서울페이+ 앱 다운로드
• 동백전 홈페이지
• 대전사랑카드 홈페이지
• 인천e음 홈페이지
• 대구로페이 홈페이지
2025.05.09 - [분류 전체보기]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및 사용방법, 최대 20%할인, 9월까지 매주 최대 2만원 환급받는 법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및 사용방법, 최대 20%할인, 9월까지 매주 최대 2만원 환급받는 법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에서 쇼핑을 하신다면, 2025년 5월부터 9월까지 진행되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매주 결제액의 최대 10%를 다시 돌려받을 수 있는 알뜰한
succentra.com
2025.05.22 - [분류 전체보기] - 튼튼머니 사용처, 적립방법, 인증시설, 스포츠상품권 전환
튼튼머니 사용처, 적립방법, 인증시설, 스포츠상품권 전환
건강도 챙기고, 포인트도 받는 똑똑한 습관 ‘튼튼머니’요즘 운동과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바쁜 일상 속에서 체력 관리가 쉽지 않은 분들에게는 동기부여가
succentra.com
2025.06.18 - [분류 전체보기] - 문화누리카드 온라인사용처, 신청자격, 잔액조회, 충전하기, 홈페이지까지 완벽정리 - 네이버페이 5천원 이벤트도 놓치지 마세요!